카테고리 없음

Turbo Sonic 10분 운동으로 1시간 효과 브리핑 자료 요약

lee 웅 2015. 4. 15. 14:30

 

Turbo Sonic 영업팀 상세 자료입니다..........

 

첨부파일를 참고하세요.....

 

10분 운동 브리핑 자료 요약.pdf

 

 

 

 

 

전용뷰어 보기

 

 

음파진동운동기의 적용 영역

 

   대부분의 스포츠 종목에서 단 시간에 큰 힘을 내는 능력, 즉 순발력(explosive muscular strength)은 승패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따라서 선수들은 항상 파워를 향상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며, 전 월드컵 축구팀 감독이었던 히딩크도 체력트레이너를 통해 전 선수들에게 파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또한 야구, 농구, 배구, 핸드볼등과 같이 순간적인 질주와 점프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근육의 파워를 향상시키는 것이 절대적이다.

 

   근육은 운동하는 속도에 특이적으로 적응을 한다. 즉 짧은 시간에 큰 힘을 내기 위해서는 웨이트 트레이닝을

할 때에도 매우 빠른 속도로 부하를 들어 올림으로서 근 수축 속도를 향상시켜야만 한다. 그러나 부하를 들어

올리는 속도에는 한계가 있으며, 전문 선수들의 경우 이미 그 속도에서의 많은 훈련을 통해 근육의 적응이 다

이루어진 경우가 대부분이다.

  

   전신수직진동운동은 2g~3g(g;gravity)정도의 중력으로 전신을 짧은 시간에 중력의 역방향과 중력방향으로 들었다 당겼다 함으로서 근육, 특히 하지근과 복근, 척추기립근과 같은 중력방향의 근육에 지속적인 신전반사(stretch reflex)를 일으켜 근육이 수동적으로 수축(involuntary contraction)하게 하고, 매우 빠른 속도와 강도로 수축하게 함으로서 새로운 자극에 근육을 적응(신경적응)시키게 된다. 따라서 근육은 더 큰 힘을 더욱 빠르게 발휘하게 도는 것이다. 이는 12~15Hz에서 가장 효과적이다.

   또한 고 Hz의 자극은 근육을 풀어주는 역할을 한다. 즉 진동이 심한 전기 톱을 오래 들고 있으면 팔이 저리면서 힘이 빠지듯이 전신에 고 Hz의 자극을 주면 전신의 근육은 긴장상태를 풀게 되고 혈액을 원활하게 순환시켜

피로물질의 제거를 촉진하게 된다. 그러나 경기 중 자극을 부여하고, 또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25~30Hz의 자극이 가장 이상적이라 할 수 있다. 농구나 축구의 half-time 시간대에 이 진동수를 이용한

전신진동운동을 실시할 경우 근육기능을 향상시키고 피로물질의 제거를 촉진 함으로서 후반전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건강관리 영역

 

현대인이 앓고 있는 병의 대부분은 운동의 부족에서 기인한 것이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병이 비만으로서

비만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뇌졸증 등 다른 모든 성인성 질환의 원인으로 작용하며, 또한 관절염이나

골다공증과 같은 퇴행성 질환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힘이 든다는 이유로 운동을 지속적으로 하지 못하고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증상들은 더욱 심해져 가고 있다.

  

   전신진동운동은 운동 중 칼로리 소모량을 증가시키고 체내 지방조직의 유동성을 강화시켜 평상시에도 지방 위주의 에너지 대사가 일어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근육량 증가에 따른 기초대사량 증가를 유발한다. 또한 장 운동을 활성화시켜 변비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체지방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다른 요법들에서 흔히 나타나는 요요 현상도 예방 할 수 있다.

   또한 전신진동운동은 뼈와 관절에 웨이트 트레이닝과 줄넘기운동을 혼합한 자극을 줌으로써 골 밀도를 증가시키고 각 관절의 퇴행성 질환을 치료, 예방해 준다. 특히 퇴행성 질환이 어느 정도 진행된 경우 줄넘기나 웨이트 트레이닝, 달리기는 자칫 무릎이나 허리 등에 무리를 주어 또 다른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나 전신진동운동은 인체에는 아무런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적당한 자극을 제공해 준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따르면 전신진동운동은 성장호르몬(GH) IGF-1(insulin-like growth factor type1)분비를 촉진하여 성장을 촉진하고 노화를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남성호르몬(testosterone)의 분비를 촉진하여 근육 기능 및 성기능의 향상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신진동운동은 비자의적인 근 수축(involuntary muscle contraction)을 통해 근신경계의 적응을 일으켜 근육

기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사고나 선천적 이상에 의해 자의적인 근 수축이 불가능한 사람들에게 운동과 재활요법으로서 전신진동운동을 실시할 경우 뼈와 근육량의 감소를 최소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신진동운동은 다른 운동과 달리 힘이 들거나 통증을 유발하지 않고 실시할 수 있어 수술환자의 회복 촉진을 위한 운동요법으로도 적당하다.





 
10분 운동 브리핑 자료 요약.pdf
3.3MB